천문 정보, 천문 자료, 별자리, 태양, 달, 행성, 소행성, 왜행성, 왜소행성,유성, 유성우, 혜성, 은하수, 우리 은하,태양계,천체 사진, 천체 동영상, 천문 동영상,인공 위성 사진,이리듐 플레어,국제우주정거장,ISS,천체 사진 촬영법, 이미지 프로세싱 팁, 장비 리뷰 및 팁 제공.
에라스무스 (C/2020 S3, Erasmus) 혜성은 2020년 9월 17일 남아프리카 천문대의 니콜라스 에라스무스(Nicolas Erasmus)가 하와이 마우나로아에 있는 ATLAS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프로그램의 망원경인 50 cm 슈미트 반사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18.4등급의 혜성을 발견하였습니다.
C/2020 S3 혜성은 약 3,300년의 궤도를 가진 준 포물선 혜성입니다. 근일점은 2020년 12월 12일이며,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약 0.40 AU 입니다.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때는 11월 19일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1.04 AU 입니다. 혜성은 2020년 12월 중순에 5~6 등급의 최대 밝기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때에는 태양에 너무 가까워서 관측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11월 22일 기준으로 C/2020 S3 혜성은 7.0등급이며, 최근에 약한 이온 꼬리도 촬영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새벽에 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고도가 낮아져서 대략 12월 8일까지 새벽에 남동쪽(SE)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혜성의 대략적인 고도(06:20 기준)는 11/23 (14.8°), 11/27 (10.5°), 11/30 (7.5°), 12/02 (5.5°), 12/05 (2.5°), 12/07 (0.7°)입니다.
염범석. Bum-Suk Yeom.
The estimated development of the comet's magnitude : 8.91 + 5 log[∆] + 10.70 log[r].
Image credit: Bum-Suk Yeom/COBS/Crn Vrh Observatory/José J. Chambó (https://cometografia.es)/TheSkyX software.
Taken by Bum-Suk Yeom (www.cometsky.com) on November 15, 2020 UT @ Namwon, South Korea. Details: 17:49 UT, Sigma Art 40mm F1.4 lens, ASI6200MC Pro camera, SkyGuider Pro portable mount, Optolong L-Pro filter, f/5.6, 10 min Single shot. No dark, No flat.
2020. 11. 16. 02:49 KST, 시그마 아트 40mm F1.4 렌즈, ASI6200MC Pro 카메라, 스카이가이더 프로 휴대용 적도의, 옵토롱 L-Pro 필터, f/5.6, 노출시간 10분 한장, 전라북도 남원시, 염범석 Bum-Suk Yeom.
사자자리 유성우의 모혜성인 템펠-터틀 (55P/Tempel-Tuttle) 혜성은 지금으로부터 1998년에 근일점 (행성 또는 혜성이 궤도상에서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점)을 통과하였습니다. 이 혜성은 직경이 4km이며, 약 33년의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성우는 특히 33년마다 근일점을 통과하여 지나갈 때에는 엄청난 개수의 유성을 관측할 수 있는 유성 폭풍 현상을 보여주었습니다. 사자자리 유성우는 2001년까지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었으나 최근에는 평범한 유성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앞으로 사자자리 유성 폭풍은 2033년 전후에 일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국제유성협회(IMO)는 올해 사자자리 유성우의 극대기를 11월 17일 20시(한국시간)로 발표하였고, 시간당 볼 수 있는 유성의 수 (ZHR)는 약 10개 전후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비록 많은 유성을 볼 수는 없겠지만 사자자리 유성우의 특성상 밝은 유성들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진 촬영시에는 화구도 촬영이 가능할 것입니다. 극대기에 우리나라는 저녁이지만, 18일 새벽에 어느 정도 유성을 관측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달이 초저녁에 지기때문에 밤새도록 유성우를 관측하는데 최고의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기대는 하지 마세요. 생각보다 많은 유성은 보기 어렵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