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 정보, 천문 자료, 별자리, 태양, 달, 행성, 소행성, 왜행성, 왜소행성,유성, 유성우, 혜성, 은하수, 우리 은하,태양계,천체 사진, 천체 동영상, 천문 동영상,인공 위성 사진,이리듐 플레어,국제우주정거장,ISS,천체 사진 촬영법, 이미지 프로세싱 팁, 장비 리뷰 및 팁 제공.
에라스무스 (C/2020 S3, Erasmus) 혜성은 2020년 9월 17일 남아프리카 천문대의 니콜라스 에라스무스(Nicolas Erasmus)가 하와이 마우나로아에 있는 ATLAS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프로그램의 망원경인 50 cm 슈미트 반사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18.4등급의 혜성을 발견하였습니다.
C/2020 S3 혜성은 약 3,300년의 궤도를 가진 준 포물선 혜성입니다. 근일점은 2020년 12월 12일이며,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약 0.40 AU 입니다. 지구에 가장 가깝게 접근하는 때는 11월 19일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1.04 AU 입니다. 혜성은 2020년 12월 중순에 5~6 등급의 최대 밝기에 도달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이때에는 태양에 너무 가까워서 관측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합니다. 11월 22일 기준으로 C/2020 S3 혜성은 7.0등급이며, 최근에 약한 이온 꼬리도 촬영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새벽에 볼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고도가 낮아져서 대략 12월 8일까지 새벽에 남동쪽(SE) 하늘에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혜성의 대략적인 고도(06:20 기준)는 11/23 (14.8°), 11/27 (10.5°), 11/30 (7.5°), 12/02 (5.5°), 12/05 (2.5°), 12/07 (0.7°)입니다.
염범석. Bum-Suk Yeom.
The estimated development of the comet's magnitude : 8.91 + 5 log[∆] + 10.70 log[r].
Image credit: Bum-Suk Yeom/COBS/Crn Vrh Observatory/José J. Chambó (https://cometografia.es)/TheSkyX software.
Taken by Bum-Suk Yeom (www.cometsky.com) on November 15, 2020 UT @ Namwon, South Korea. Details: 17:49 UT, Sigma Art 40mm F1.4 lens, ASI6200MC Pro camera, SkyGuider Pro portable mount, Optolong L-Pro filter, f/5.6, 10 min Single shot. No dark, No flat.
2020. 11. 16. 02:49 KST, 시그마 아트 40mm F1.4 렌즈, ASI6200MC Pro 카메라, 스카이가이더 프로 휴대용 적도의, 옵토롱 L-Pro 필터, f/5.6, 노출시간 10분 한장, 전라북도 남원시, 염범석 Bum-Suk Yeom.
아틀라스 (C/2020 M3, ATLAS) 혜성은 2020년 6월 27일에 아틀라스 (ATLAS)가 발견한 혜성입니다. 아틀라스 (ATLAS)는 ‘소행성 지구 충돌 최후 경보 시스템(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의 약자로 하와이 대학이 개발하고 나사(NASA)가 자금을 지원하는 소행성 충돌 조기 경보 시스템입니다. 이 혜성은 10월 25일에 근일점을 통과하였고 11월 14일에 지구에 가장 접근(0.36AU, 8.0등급)합니다. 현재 이 혜성은 8.5등급으로 토끼자리에 있으며, 11월 동안에 오리온자리를 지나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틀라스 혜성은 10월과 11월 동안에 8등급대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밝기 정보는 변동 가능)
Magnitude data: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Electronic Telegram No. 4804. (CBET 4804).
Epoch = 2020 July 10.0 TT
T = 2020 July 3.68072 TT, Peri. = 37.27545
e = 0.9991822, Node = 61.01042 (2000.0)
q = 0.2946898 AU, Incl. = 128.93737
Photometric power-law parameters H = 7.0 and 2.5n = 12.5. Heliocentric distance 1.6 AU < r.
Total apparent magnitude m = H + 5 log10 d + 2.5 n log10 r . Comets’ intrinsic brightness is usually expressed in terms of the absolute total magnitude H, which is related to the apparent magnitude m using the relation H = m − 5 log10 d − 2.5 n log10 r. Here d and r are the geocentric and heliocentric distances, respectively, and n is the photometric index, which strongly depends on the strength and nature of a given comet’s activity. For an inactive (asteroidal) body, n = 2. Often n = 4 is assumed for comets, leading to the conventional absolute magnitude H10. However, comets show great diversity in their activity, and n indexes ranging from 1 to 10 have been reported for different comets (with even more extreme values on occasion). (Vokrouhlický, Nesvorný, & Dones 2019, AJ, 157, 181).
Magnitude data: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Electronic Telegram No. 4804. (CBET 4804).
Epoch = 2020 July 10.0 TT
T = 2020 July 3.68072 TT, Peri. = 37.27545
e = 0.9991822, Node = 61.01042 (2000.0)
q = 0.2946898 AU, Incl. = 128.93737
Photometric power-law parameters H = 7.0 and 2.5n = 12.5. Heliocentric distance 1.6 AU < r.
Total apparent magnitude m = H + 5 log10 d + 2.5 n log10 r . Comets’ intrinsic brightness is usually expressed in terms of the absolute total magnitude H, which is related to the apparent magnitude m using the relation H = m − 5 log10 d − 2.5 n log10 r. Here d and r are the geocentric and heliocentric distances, respectively, and n is the photometric index, which strongly depends on the strength and nature of a given comet’s activity. For an inactive (asteroidal) body, n = 2. Often n = 4 is assumed for comets, leading to the conventional absolute magnitude H10. However, comets show great diversity in their activity, and n indexes ranging from 1 to 10 have been reported for different comets (with even more extreme values on occasion). (Vokrouhlický, Nesvorný, & Dones 2019, AJ, 157, 181).
Taken by Bum-Suk Yeom (www.cometsky.com) on July 18, 2020 UTC @ Namwon, South Korea. Details: 12:30 UTC (21:30 KST), 60mm refractor (Takahashi FS-60CB with Reducer, f=264mm, F4.4), EOS 5D Mark III camera, SkyGuider Pro portable mount, ISO 1600, f/4.4, 25 sec x 8 pic stack (total 200 sec).
2020. 07. 18. 21:30 KST, 60mm 굴절 망원경 (다카하시 FS-60CB + 리듀서, f=264mm, F4.4), 캐논 EOS 5D Mark III 카메라, 스카이가이더 프로 휴대용 적도의, f/4.4, ISO 1600, 노출시간 25초 x 8장 합성 (총 200초 노출), 전라북도 남원시, 염범석 Bum-Suk Yeom.
Taken by Bum-Suk Yeom (www.cometsky.com) on July 16, 2020 UTC @ Namwon, South Korea. Details: 11:52 UTC (20:52 KST), Sigma Art 40mm F1.4 lens, Canon EOS 5D Mark III camera, Manfrotto 055 tripod, ISO 1600, f/4, 6 sec.
2020. 07. 16. 20:52 KST, 시그마 아트 40mm F1.4 렌즈, 캐논 EOS 5D Mark III 카메라, 맨프로토 055 삼각대, ISO 1600, f/4, 노출시간 6초, 전라북도 남원시, 염범석 Bum-Suk Yeom.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