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deo & Sound] Artemis I – European Service Module perspective [동영상 & 음향] 1차 아르테미스 미션 – 유럽 서비스 모듈 [Video & Sound] Artemis I – European Service Module perspective. [동영상 & 음향] 1차 아르테미스 미션 – 유럽 서비스 모듈. This video gives an overview of the first mission – without astronauts – for Artemis, focussing on ESA’s European Service Module that powers the spacecraft. The spacecraft will perform a flyby of the Moon, using lunar gravity to gain speed and propel itself 70 000 km beyond the Moon. The total tr.. 2022. 3. 23.
2022 ExoMars suspended 2022 엑소마스(ExoMars) 화성탐사 미션 중단 2022 ExoMars suspended 2022 엑소마스(ExoMars) 화성탐사 미션 중단 17 March 2022 As an intergovernmental organisation mandated to develop and implement space programmes in full respect with European values, we deeply deplore the human casualties and tragic consequences of the aggression towards Ukraine. While recognising the impact on scientific exploration of space, ESA is fully aligned with the sanctions im.. 2022. 3. 20.
An initial alignment image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JWST) 나사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미러 초기 정렬 이미지 An initial alignment image of James Webb Space Telescope(JWST). 나사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미러 초기 정렬 이미지. Here's an initial alignment image released by NASA today from JWST of star HD 84406. Everything else is galaxies. While the purpose of this image was to focus on the bright star at the center for alignment evaluation, Webb's optics and NIRCam are so sensitive that the galaxies and stars seen in the bac.. 2022. 3. 18.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March 2022 2022년 3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March 2022. 2022년 3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Large photo: http://cometsky.com/astronews/2022_03_mar_skyobject_large_bsyeom.jpg Bum-Suk Yeom. 염범석. 2022. 3. 2.
Giant solar eruption seen by Solar Orbiter 솔라 오비터가 촬영한 거대한 태양 분출 Giant solar eruption seen by Solar Orbiter. 솔라 오비터(Solar Orbiter)가 촬영한 거대한 태양 분출. http://cometsky.com/astronews/giant_solar_eruption_so_bsyeom.jpg The Full Sun Imager (FSI) of the Extreme Ultraviolet Imager (EUI) on board the ESA/NASA Solar Orbiter spacecraft captured a giant solar eruption on 15 February 2022. Solar prominence is a large plasma and magnetic field structure extending outward fro.. 2022. 2. 24.
Huge explosion on the farside of Sun 태양 뒷면에서의 거대한 폭발 Huge explosion on the farside of Sun. 태양 뒷면에서의 거대한 폭발. 2022년 2월 16일에 소호(SOHO)의 코로나그래프는 가장 극적인 코로나질량방출(CME)을 포착하였다. 영상의 중앙에 원형으로 가려진 부분이 태양이고, 흰색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코로나질량방출이라고 한다. 코로나질량방출(Coronal mass ejection, CME) : 대규모의 태양풍 폭발 현상으로, 가벼운 동위원소 플라스마를 포함하며, 자기장이 태양 코로나 위로 올라와서 우주 공간으로 뻗어나간다. 태양 플레어와 같은 다른 형태의 태양 활동과 종종 연관되는데 인과관계는 성립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질량 방출은 흑점과 같은 태양 표면의 활성 구역에서 기인한다. 주로 전자와 양성자를 방출하지만 약간의 헬륨·.. 2022. 2. 18.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February 2022 2022년 2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February 2022. 2022년 2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Large photo: http://cometsky.com/astronews/2022_02_feb_skyobject_large_bsyeom.jpg Bum-Suk Yeom. 염범석. 2022. 2. 3.
달 탐사선 명칭공모전 안내 대한민국 우주 탐사의 첫 장을 여는 달 탐사선이 올해 여름 발사됩니다. 달 탐사선은 1년 동안 달 궤도를 돌며 과학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국민 모두가 공감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달 탐사선 이름 정하기 위해 명칭공모전을 진행합니다. 대한민국 우주 탐사 역사에 길이 남을 그 이름을 국민 여러분이 직접 지어 주세요! 1. 공모주제 - 국내 최초의 달 탐사 프로젝트에 어울리는 이름 - 우주개발 강국으로 도약하는 이미지를 상징할 수 있는 이름 - 참신하며 발음과 기억이 쉬운 이름 2. 응모기간 : '22.1.26(수) ~ 2.28(월) 3. 응모자격 :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응모 횟수 제한 없음) 4. 응모방법 : 달 탐사선 홈페이지(www.kari.re.kr/kplo)에서 .. 2022. 1. 30.
Winter constellations 겨울철의 주요 별자리 Winter constellations. 겨울철의 주요 별자리. http://cometsky.com/astronews/winter_skymap_01_bsyeom.jpg 염범석. Bum-Suk Yeom. 2022. 1. 18.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January 2022 2022년 1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Celestial objects to observe in January 2022. 2022년 1월의 천체 관측 대상들. Large photo: http://cometsky.com/astronews/2022_01_jan_skyobject_large_bsyeom.jpg Bum-Suk Yeom. 염범석. 2022. 1. 17.
Visual observation results of the Quadrantids 2022 2022년 사분의자리 유성우(Quadrantids) 안시 관측 결과 Visual observation results of the Quadrantids 2022. 2022년 사분의자리 유성우(Quadrantids) 안시 관측 결과. 올해는 유성이 예상보다 많이 떨어지지 않았네요. Visual observation data: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IMO). 안시관측 데이터: 국제유성기구(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IMO). Image Credit: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IMO). 2022. 1. 6.
Visual observation results of the Quadrantids 2016-2021 최근 6년간 (2016-2021) 사분의자리 유성우 안시 관측 결과 Visual observation results of the Quadrantids 2016-2021. 최근 6년간(2016-2021) 사분의자리 유성우(Quadrantids) 안시 관측 결과. 2016-2021년 사분의자리 유성우 안시 관측 결과: 1. 극대기에 시간당 30개~95개의 유성을 관측 (평균적으로 약 70개). 2. 극대기 당일에만 집중적으로 떨어짐. 3. 많은 유성들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극대기 시간을 기준으로 몇시간 전부터 관측하는 것이 중요! Visual observation data: 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IMO). 안시관측 데이터: 국제유성기구(International Meteor Organization, IMO). http://come.. 2022.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