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브스키 혜성 (Comet Nevski, P/2013 V3) 2013-11-12 네브스키 혜성 (Comet Nevski, P/2013 V3).2013년 11월 8일에 발견된 이 혜성은 발견 당시에는 15.1등급이었으며, 이후 처음 보고된 것보다 더 밝아지고 있다.11월 15일에 8.8등급으로 보고되었으며 한동안 8~9등급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4개의 밝은 혜성 (C/2012 S1, C/2013 R1, C/2102 X1, 2P/Encke)과 함께 동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다. 아래 사이트는 이 혜성의 밝기 변화에 대한 그림을 제공하고 있다. 11월 중순에 약 6등급 정도 밝기가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http://www.aerith.net/comet/catalog/2013V3/2013V3.html 궤도 요소 자료 : http://scully.cfa.harvard.edu/cgi-.. 2013. 11. 20.
아이손 혜성과 밝은 혜성들의 고도 변화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과 밝은 혜성들의 고도 변화. 4개의 밝은 혜성 (아이손 혜성, 러브조이 혜성, 리니어 혜성, 엥케 혜성) 중 3개의 혜성 (아이손 혜성, 러브조이 혜성, 리니어 혜성)에 대한 날짜에 따른 고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엥케 혜성은 고도가 낮아서 관측이 어렵습니다. 2013년 12월 4일 ~ 21일, 새벽 6시 30분 기준 (한국 시간). 4개의 밝은 혜성: 아이손 혜성 (C/2012 S1), 러브조이 혜성 (C/2013 R1), 리니어 혜성 (C/2012 X1), 엥케 혜성 (2P/Encke). Four bright Comet : Comet ISON (C/2012 S1), Comet Lovejoy (C/2013 R1), Comet LINEAR (.. 2013. 11. 19.
아이손 혜성의 밝기 증가 (Comet ISON Outburst)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이 갑자기 밝아졌다. 11월 14일 (세계시)에 아이손 혜성은 대략 6배로 밝기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아이손 혜성은 밝기가 8등급에서 6등급으로 증가하였다. 만일 이러한 경향이 지속된다면, 이 혜성은 이번주 말에 쉽게 맨눈으로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손 혜성의 급격한 밝기 증가는 혜성의 핵 (Nucleus)에서 방출된 다량의 얼음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나사의 아이손 혜성 관측 캠페인은 "우리는 이 현상에 대해 설명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혜성의 핵은 흐릿한 녹색 대기에 의해 시야로부터 숨겨져 있다. 그래서 내부에서의 현상은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미국의 찰스 코번 (Charles Coburn)이 세계시간으로 11월 13일.. 2013. 11. 15.
최근 관측 가능한 혜성들과 궤도 요소들 (2013년 11월 12일 기준) 최근 관측 가능한 혜성들과 궤도 요소들입니다. (2013년 11월 12일 기준)자동 천체 도입 망원경에서 혜성 궤도 요소들을 입력해서 넣을 때 필요한 정보들입니다. Elements and Ephemeris for Comets (http://cometchasing.skyhound.com/) cf. Peri.(ω), Node(Ω), Incl.(i) ( http://www.minorplanetcenter.net/iau/Ephemerides/Comets/index.html ) Explanation Of Orbital Elements The quantities given in orbital elements published in the IAU Circulars, Minor Planet Circulars and M.. 2013. 11. 13.
인쇄용 아이손 (ISON) 혜성의 탐색 성도 아이손 혜성 (ISON, C/2012 S1)의 탐색 성도입니다.기간: 2013년 11월 7일 - 11월 18일. 지난 번에 만든 성도가 복잡해서 좀 더 확대하여 간단히 만들었습니다. 쌍안경 관측시 편의를 위해 쌍안경 시야를 추가하였습니다. http://cfile21.uf.tistory.com/original/2716E24E5279F6331E614E http://cfile25.uf.tistory.com/original/240C27495279F66E2319C9 http://cfile25.uf.tistory.com/original/210AF5495279F670241D34 http://cfile24.uf.tistory.com/original/21382B37527.. 2013. 11. 6.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 2013-11-05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아이손 혜성이 밝아지고 꼬리도 많이 길어졌네요.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Exposure Data*Object : Comet ISON, C/2012 S1Date : 2013. 11. 05. 05:31 (KST)Location : Gapyeong-gun, Gyeonggi ProvinceTelescope (or Lens) : MT-200 reflectorMount (or Tripod) : Vixen Atlux mountCamera : Canon EOS 5D Mark III digital cameraFocal Length : 1200mmF ratio : 6Exposure : 2 x 60s = 2 minISO : 640.. 2013. 11. 6.
iEQ45 적도의 사용자 천체 입력 (Set User Objects) 방법 Set User Objects (cf. iOptron iEQ45 Manual section 5.7.) 1. 혜성이 아닌 다른 천체의 데이터 저장. - "MENU" 버튼 누름.- "Set User Objects" 선택후 "ENTER"를 누름.- Submenu인 "Objects Except Comet" 을 선택.- "Objects Except Comet" 스크린으로부터 "Add a New Record"를 선택.- 스크린에 R.A. DEC를 입력하라는 내용이 나옴.- 원하는 좌표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름.- 확인 창이 뜨면 "ENTER"를 누름. (취소시에는 "BACK" 버튼을 누름.) cf. 원하는 천체가 입력되는지 더 확실하게 알아보는 방법은 star catalogs로부터 직접하는 것이다. "Ent.. 2013. 11. 4.
아이손 혜성의 고도 변화 (2013년 11월) 아이손 혜성 (ISON, C/2012 S1)의 고도 변화입니다.기간: 2013년 11월 4일 - 12월 1일. 날짜에 따른 아이손 혜성의 고도 변화. http://cfile1.uf.tistory.com/original/254AAF36527708561F62E2 http://cfile9.uf.tistory.com/original/260BB33C527708772D64B3 http://cfile6.uf.tistory.com/original/2318583C52770879246E44 cf. 아이손 혜성의 실제 밤하늘에서의 정확한 위치는 아이손 혜성의 탐색 성도 자료 ( http://cometsky.tistory.com/285 )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13. 11. 4.
아이손 혜성의 탐색 성도 (2013년 11월) 아이손 혜성 (ISON, C/2012 S1)의 탐색 성도입니다.기간: 2013년 11월 4일 - 12월 1일. 1. 날짜에 따른 아이손 혜성의 탐색 성도. http://cfile29.uf.tistory.com/original/27596F4952767E1D37C0BC http://cfile29.uf.tistory.com/original/243BC34752767E5A16CEB0 http://cfile9.uf.tistory.com/original/216F834752767E5E314D47 2. 날짜에 따른 아이손 혜성의 고도 변화. http://cfile9.uf.tistory.com/original/2563B73652767D6512FE32 http://cfile10.uf.tistory.com/original/2.. 2013. 11. 4.
마차부자리 (Constellation Auriga) 마차부자리 (Constellation Auriga).구름이 껴 있던 하늘이라 사진이 잘 나오지 않았네요.기록 차원에서 올려봅니다. 사진 설명은 생략하였습니다.다음에 제대로 된 사진을 다시 올리게 되면 그때 사진 설명도 추가하겠습니다.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http://cfile8.uf.tistory.com/original/2710B14B5276663E171238 Object : Constellation AurigaDate : 2013. 09. 05. 03:29 (KST)Location : Gapyeong-gun, Gyeonggi ProvinceTelescope (or Lens) : Canon EF 50mm (F1.4)Mount (or Tripod) : SkyTrac.. 2013. 11. 4.
달의 칭동 (Libration)이란? 칭동 (秤動, Libration)은 궤도를 도는 천체의 특정한 상대 운동을 말한다. 달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아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한쪽 표면만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칭동으로 인해 우리는 달 표면의 50%가 아닌 약 59%를 볼 수 있다. 이 사진은 달의 위도 칭동의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2009년과 2013년에 촬영한 하현달 사진에서 달의 상하(북쪽과 남쪽) 표면이 조금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달의 칭동의 3가지 종류: 1. 경도 칭동 : 달의 타원 궤도로 인해 생기는 현상. 케플러 법칙에 의해 달의 공전 각속도는 변하지만 달의 자전 각속도는 일정하기 때문에 달의 겉모습이 한달을 주기로 좌우로 진동하게 된다. 2. 위도 칭동 : 달과 지구의 궤도 기울기로 인해 생기는 현상. .. 2013. 11. 2.
하현달 (Last Quarter Moon) 하현달 (Last Quarter Moon).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Exposure Data*Object : Last Quarter MoonDate : 2013. 10. 27. 02:53 (KST)Location : Gapyeong-gun, Gyeonggi ProvinceTelescope (or Lens) : MT-200 reflectorMount (or Tripod) : Vixen Atlux mountCamera : Canon EOS 5D Mark III digital cameraFocal Length : 1200mmF ratio : 6Exposure : 1/1000 s ISO : 400Filter : NonePhotographer : Bum-Suk Yeom < .. 2013.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