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조이 혜성의 거대한 꼬리 일반적인 혜성보다 상당히 밝은 혜성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세기 최대의 혜성이 될 것으로 예측한 아이손 (ISON) 혜성에 관심을 가져서 비운의 혜성이 된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3 R1). 하지만 반전은 있는 법. 아이손 혜성이 태양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여 사라졌지만 러브조이 혜성은 점점 더 화려한 꼬리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요즘 러브조이 혜성은 2011년에 화려한 꼬리를 보여주었던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1 W3)에 버금가는 화려한 꼬리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 러브조이 혜성의 꼬리 길이는 하늘에서 20도 정도되며 보름달 크기의 약 40배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러브조이 혜성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것은 아마도 이 .. 2013. 12. 20. 달에 생긴 새로운 크레이터 (New Crater) 달에 있는 대부분의 크레이터들은 약 백만년 전이나 10억년 전에 만들어진 것들입니다. 나사(NASA)의 달 정찰 궤도선(Lunar Reconnaissance Orbiter)이 단지 나이가 9개월된 크레이터를 발견하였습니다. 2013년 3월 17일에 밝은 섬광이 비의 바다(Mare Imbrium, the Sea of Rains)에서 나타났습니다. 연구원들은 폭이 0.2m인 작은 소행성이 달 표면에 충돌하였고 TNT 1.3톤의 폭발력과 맞먹는 파괴력을 지녔다고 결론지었습니다. 달 정찰 궤도선(Lunar Reconnaissance Orbiter)에 장착된 카메라(LROC camera)가 그 충돌 위치를 통과할 때인 7월에 크레이터 사진을 촬영하였습니다. 이후 분석을 통해서 이 크레이터는 직경이 약 18m가 된.. 2013. 12. 19. 중국의 창어 3호 달에 착륙 중국이 발사한 달 착륙선인 창어 3호(Chang’e-3 lunar lander)가 중국 시간으로 2013년 12월 14일 21시 41분에 달의 서경 19.5도, 북위 44.1도 지점에 착륙하였다. 이로써 중국은 미국(1972년)과 러시아(1976년)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달에 착륙한 국가가 되었다. 중국 국영 중국중앙방송 CCTV는 창어 3호에 탑재된 중국 최초의 로봇 달 탐사체 (로버)인 '옥토끼(玉兎-중국명 위투, Jade Rabbit) 로버'가 달 표면에 안전하게 착륙하는 장면을 생중계하였다. 창어 3호는 달 표면에서 15㎞ 정도 떨어진 궤도에서 역추진 방식으로 속도를 줄여서 옥토끼 로버와 함께 안전하게 달 표면에 착륙하였다. 또한 창어 3호에 탑재된 옥토끼 로버도 성공적으로 분리되었다. 6개의.. 2013. 12. 15.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목성과 4대 위성 테스트로 촬영해본 갤럭시 노트 1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목성과 4대 위성 사진입니다. 목성의 줄무늬 2개도 나왔네요.^^ 촬영일 : 2013년 12월 11일 22시 58분.촬영 장소 : 송파하남 어린이 천문대.망원경 : 미드 LX200 16인치 반사 굴절 망원경.촬영자 : 염범석 (Bum-Suk Yeom). 2013. 12. 12. 금성의 고도 변화, 2013년 12월중 2013년 12월중 금성의 고도 변화입니다. 매일 18시 30분 기준입니다. 2013. 12. 4. 초승달 모양의 금성(Venus) 어제 촬영한 금성입니다.금성은 현재 이쁜 초승달 모양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금성의 고도가 점점 낮아져서 12월 말부터는 관측이 어렵습니다. 촬영장소: 송파하남 어린이천문대.촬영일: 2013년 12월 3일 18시 24분.망원경: 미드 LX200 16인치(40cm) 반사 굴절 망원경.카메라: 캐논 EOS 5D Mark III 디지털 카메라.촬영자: 염범석. 2013. 12. 4. 아이손 혜성이 다시 죽었네요 아이손 혜성이 다시 죽었네요. 2013년 12월 1일 (한국시간)에 태양 관측 위성인 소호 (SOHO) 위성에서 촬영된 사진에 의하면 아이손 혜성의 밝기가 매우 어두워져서 핵부분이 잘 보이지 않을만큼 어두워졌습니다. 아마도 아이손 혜성의 핵이 거의 사라진 것 같습니다. 남아 있는 핵의 일부분이 얼마나 될지는 알 수 없어서 다시 관측이 가능할 지는 알 수가 없네요. 향후 예측에 의하면 12월 초부터 사진 촬영은 가능할 수도 있겠으나 맨눈으로 혜성의 확인은 힘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Image Credit: ESA/NASA SOHO/LASCO C3 2013. 12. 2. 아이손 혜성이 살아 났어요 아이손 혜성이 살아 났어요!!! 한국 시간으로 어제 나사 발표에 따르면 아이손 혜성이 파괴된 것으로 보도가 되었지만, 오늘 새벽에 새롭게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아이손 혜성이 다시 살아 났다고 합니다. 아이손 혜성이 죽음을 맞이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지만 이 혜성이 많은 피해를 입어서 어떻게 발달해 나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손 혜성의 최근 사진, 2013년 11월 30일 9시 8분 (한국 시간).사진의 중앙에 흰색 원이 태양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고 태양의 아래쪽에 전갈자리의 알파별인 안타레스(Antares)를 볼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위쪽에 보면 아이손 혜성 (Comet ISON)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이손 혜성의 핵 부분과 꼬리 부분을 명확히 볼 수가 있습니다. (NA.. 2013. 11. 30. 4개의 밝은 혜성들 (Four bright comets) cf. 한국천문연구원 주최 이달의 천체사진 (2013년 11월의 천체 사진)에 당선. (아래 링크 참조)http://www.kasi.re.kr/View.aspx?id=photoweekly&page=0&si=False&sn=False&ss=True&sc=False&keyword=&pagesize=20&uid=5929 4개의 밝은 혜성들 (Four bright comets). 4개의 밝은 혜성 (아이손 혜성, 러브조이 혜성, 리니어 혜성, 엥케 혜성) 사진입니다. 2013년 11월 12일에 3개의 혜성 (아이손 혜성, 러브조이 혜성, 리니어 혜성)을 촬영하였고, 이날 엥케 혜성은 고도가 낮아서 촬영이 불가능하여 10월에 촬영한 사진으로 대체했습니다. 4개의 밝은 혜성: 아이손 혜성 (C/2012 S1), 러.. 2013. 11. 20.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 2013-11-12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 2012년 9월 21일에 네브스키 (Vitali Nevski)와 노비코노크 (Artyom Novichonok)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밝기는 18.8등급이었다. 이 혜성은 2013년 11월 28일에 근일점을 통과하며 11월 28일에 태양로부터 단지 0.012 AU 떨어진 곳을 통과한다. 현재 태양에 빨려 들어갈지 살아남아서 다시 나타날지가 논쟁중이며 만일 살아남아서 다시 나타난다면 2011년의 러브조이 혜성처럼 긴꼬리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제는 먼지 꼬리 (Dust tail)와 이온 꼬리 (Ion tail)가 분리되어 나타나네요. 4개의 밝은 혜성 (C/2012 S1, C/2013 R1, C/2102 X1, 2P/Encke) 중의 하.. 2013. 11. 20.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3 R1) 2013-11-12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3 R1).2013년 9월 7일에 테리 러브조이 (Terry Lovejoy)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밝기는 14.4등급이었다. 이 혜성은 2013년 12월 22일에 근일점을 통과하며 11월 20일에 지구로부터 단지 0.4 AU 떨어진 곳을 통과한다. 러브조이 혜성은 초기 예상과는 달리 빠른 밝기 변화를 보여 주고 있으며 현재 5.5등급 정도이다. 이 혜성은 12월에 4등급까지 밝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4개의 밝은 혜성 (C/2012 S1, C/2013 R1, C/2102 X1, 2P/Encke) 중의 하나로 새벽에 동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다. 아래 사이트는 이 혜성의 밝기 변화에 대한 그림을 제공하고 있다. http://www.aerith.n.. 2013. 11. 20. 리니어 혜성 (Comet LINEAR, C/2012 X1) 2013-11-12 리니어 혜성 (Comet LINEAR, C/2012 X1).2012년 12월 8일에 발견되었으며 발견 당시 밝기는 19.4등급이었다. 리니어 프로젝트 (Lincoln Laboratory Near-Earth Asteroid Research project)에 의해 발견된 이 혜성은 2014년 2월 21일에 근일점을 통과한다.이 혜성은 10월 20일에 큰 폭발을 일으켰고 밝기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리니어 혜성의 팽창된 코마는 2007년의 홈즈 혜성 (17P/Holmes)과 유사하게 나타난다.(사진에서 희미하지만 넓게 팽창된 코마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 당시 낮은 고도와 밝은 하늘때문에 사진 상태가 좋지 않다.) 현재 이 혜성은 머리털 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7.5등급 정도이다. 이 혜성은 2014년 봄에 최고.. 2013. 11. 20. 이전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