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82 은하에서 밝은 초신성 발견! M82 은하에서 밝은 초신성(Supernova) 발견! 약 1200만년 전 "시가(Cigar) 은하" 또는 "M82"로 불리는 은하에서 백색 왜성 (White dwarf, 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지는 별이 죽어가면서 생성하는 천체)이 폭발하였다. 마침내 이번주 먼 초신성으로부터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였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은 은하의 먼지 나선팔 중의 하나에서 11.2등급의 밝은 별처럼 망원경을 통해서 초신성을 볼 수가 있다. 비록 초신성이 약 1200만 광년 떨어져 있지만, M82는 우리 은하의 이웃 은하로 간주된다. 사실 이 초신성은 유명한 초신성인 SN 1993J이 21년 전에 관측된 이후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초신성이다. 이 초신성 타입(Ia형 초신성, Type Ia supernova)의 이전 연구들.. 2014. 1. 25. 혜성 탐사선 '로제타(Rosetta)'가 2년 6개월만에 다시 신호 전송 혜성 탐사선 '로제타(Rosetta)'가 2년 6개월만에 다시 신호 전송.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인 로제타 호가 한국 시간으로 1월 21일에 3년 가까운 긴 동면을 마치고 지구에 ‘헬로 월드 (Hello, world)’라는 첫 신호를 보내왔습니다. 로제타 호는 목성과 가까운 궤도를 도는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67P/Churyumov–Gerasimenko)'의 탐사를 위해서 지난 2004년 3월 2일에 발사됐으며, 2011년 6월부터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알람 시계와 히터 이외의 모든 장비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휴면 모드에 들어간 뒤 그동안 아무런 신호도 보내오지 않았습니다. 계획대로된다면 로제타 호는 올해 5월쯤 지름 4 km 크기의 혜성에 접근한 뒤 주위를 돌면서 탐사를 본격적.. 2014. 1. 22. 금성 (Venus) 낮에 촬영한 금성 (Venus). 아래 동영상은 이미지를 만드는데 사용한 실제 촬영한 동영상입니다. 작년 12월 31일에 촬영한 금성을 이제야 이미지처리해보았습니다. http://cfile23.uf.tistory.com/original/2373CA3352DCAFC009961A http://tvpot.daum.net/v/v50f94IHVmU4EEEXVpXcQUQ - 촬영일시: 2013년 12월 31일 16시 14분. - 촬영장소: 송파하남 어린이천문대. - 망원경: 미드 16인치 슈미트-카세그레인식 망원경. - 카메라: 투유캠 프로 2 웹캠. - 촬영자: 염범석 (Bum-Suk Yeom). 2014. 1. 20. 2014년 가장 작은 보름달 (Smallest Full Moon of the Year 2014) 2014년 가장 작은 보름달 (Smallest Full Moon of the Year 2014). 2014년 1월의 보름달은 2014년의 다른 보름달보다 14% 더 작고 30% 더 어둡습니다. 그러나 여러분들이 보름달을 직접 보면서 그 차이를 알 수 있을까요? 우리가 단순히 하늘에 떠 있는 보름달을 바라 보았을 때 크기와 밝기가 변한 것을 알아 차릴 수는 없을 겁니다. 단지 사진으로 크고 작은 보름달을 비교했을 때 알 수가 있는 것이지요. - 촬영일시: 2014년 1월 15일 21시 40분. - 촬영장소: 송파하남 어린이천문대. - 망원경: e프랑티스 크리스 120mm 굴절 망원경. - 카메라: 갤럭시 노트 1 스마트폰 카메라. - 촬영자: 염범석 (Bum-Suk Yeom). cf. 달은 달 궤도의 타원.. 2014. 1. 18. 태양의 다양한 모습들 보는 파장에 따라서 태양은 다양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아래 사진들은 태양 관측 위성인 에스디오(SDO, Solar Dynamics Observatory)가 2014년 1월 12일 새벽에 촬영한 사진들입니다.태양의 모습들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쉽게 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모습이외에도 다양하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습니다. 태양 관측 위성인 에스디오(SDO, Solar Dynamics Observatory)의 홈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매일 여러번 촬영하여 사진을 올려줍니다. ^^ http://sdo.gsfc.nasa.gov/data/ cf. 우리가 일반적으로 태양 필터를 사용하여 태양을 보면 아래의 왼쪽 사진처럼 나타나지만 좀 더 특수한 필터를 사용하면 아래의 오른쪽 사진처럼 태양의 홍염 등을 관측할 수.. 2014. 1. 12. 낮에 찍은 금성 (Venus in daylight) 촬영할 당시 실제로 금성이 어떻게 보이는 지에 대한 동영상. cf. 고화질 동영상은 아래 링크 참조:http://tvpot.daum.net/v/ve89bT7TtTht3VVtrMVBBLV 금성은 일반적으로 초저녁 또는 새벽에 관측을 할 수가 있습니다. 금성이 하늘에서 태양에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자동으로 탐색 가능한 망원경으로 낮에 관측할 수도 있습니다. 금성이 하늘에서 태양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시기 (최대 이각)에는 고도도 높고 관측이 어렵지 않으나 하늘에서 태양과 매우 가깝게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관측이 쉽지가 않습니다. 요즘은 금성이 태양과 가깝게 위치해 있어서 초저녁에 빨리지기때문에 관측 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초저녁에 금성의 고도가 너무 낮아서 관측이 어려워 낮에 관측을.. 2014. 1. 2. 겨울철 대육각형 (겨울철 다이아몬드) 겨울철 대육각형 (Winter hexagon) 또는 겨울철 다이아몬드(Winter diamond).겨울철의 대육각형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오리온자리의 리겔,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쌍둥이자리의 폴룩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을 이으면 됩니다. ^^ 촬영일 : 2013년 12월 29일 2시 12분.촬영 장소 : 송파하남 어린이천문대.렌즈 : 삼양 폴라 24mm (F1.4) 렌즈.카메라 : 캐논 EOS 5D Mark III 디지털 카메라.촬영자 : 염범석. http://cfile21.uf.tistory.com/original/2571063852BF19AA2EAA8A http://cfile7.uf.tistory.com/original/25306B4D52BF1B5E19FE10 Object :.. 2013. 12. 29. Orion Constellation 오리온자리 오리온자리 (Orion).올해 1월에 촬영한 오리온 별자리 사진을 재처리해보았습니다. 사진의 아래쪽에 광해의 영향을 좀 받았네요.사진 매수가 적어서 배경이 거칩니다. 오리온자리 참조용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캐논 EOS 5D Mark III + 캐논 EF 50mm.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보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http://cfile10.uf.tistory.com/original/2318F74B52BC59E43504B2 http://cfile3.uf.tistory.com/original/214AA94B52BC59E60256D0 http://cfile24.uf.tistory.com/original/2238294E550412CD05CD4D Object : OrionDate : 2013. 01. .. 2013. 12. 27. 과학기술위성 3호의 우주관측 시험 영상을 최초로 공개 출처: http://www.msip.go.kr/www/brd/m_211/view.do?seq=1193&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1 2013년 12월 26일,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위성 3호의 우주관측 시험 영상을 최초로 공개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지난 11월 21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된 과학기술위성 3호가 안드로메다 은하와 오리온 성운 및 장미 성운을 촬영(’13.12.17, ’13.12.21, ’13.12.22)한 적외선 우주관측 영상을 공개했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현재 초기 운영, 검정, 보정을 진행 중.. 2013. 12. 27. 중국의 달 탐사 로버 위투(Yutu, 옥토끼)의 모습 중국의 첫 달 탐사 로버인 위투(Yutu, '옥토끼'란 뜻)의 모습. 로버가 참 귀엽네요. ^^거의 40년 만에 달 표면에 인류의 흔적을 남기는 로버의 모습입니다.위투는 창어 3호 착륙선에 의해 촬영되었습니다.우리나라도 머지않아 달 탐사를 할 수 있겠죠. ^^ Credit: CNSA/CCTV. 2013. 12. 27. 2013년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유성 하나 2013년 쌍둥이자리 유성우 사진입니다. 2013년 쌍둥이자리 유성우의 극대기는 2013년 12월 14일 14시 45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낮 시간대라서 관측 조건이 좋지가 않았습니다. 또한 이때는 보름달 정도의 밝은 달이 떠 있는 상황이었기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관측 조건이 좋지가 않았습니다. 쌍둥이자리 유성우 극대기 날인 14일에는 날이 좋지 않고 밝은 달도 있어서 관측 계획이 없었으나 15일 새벽에 컴퓨터 작업 중에 잠시 하늘을 보니 엷은 구름이 있긴 했지만 대체로 날씨가 나쁘지 않아서 테스트 삼아서 촬영을 했습니다. 약 3시간 동안 촬영을 했는데 밝은 달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유성이 하나만 사진에 잡혔네요. @.@ 달이 밝아 사진에서 별들이 많이 나오지 않았지만 약간 긴 유성 하나를 잡은 것으로 만족합니.. 2013. 12. 21. 러브조이 혜성과 토성의 고도 변화 러브조이 혜성과 토성의 고도 변화.The elevations of Comet Lovejoy (C/2013 R1) and Saturn. 2013년 12월 21일 ~ 2014년 1월 27일, 6시 기준 (KST). 2013. 12. 21. 이전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