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은하의 새로운 모습 (The new view of the Milky Way) 우리 은하의 새로운 모습 (The new view of the Milky Way). 나사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 (Spitzer Space Telescope)으로부터 적외선 이미지들을 사용하여 과학자들은 우리 은하의 거대한 나선 구조가 중심 바의 양끝에서 휘감겨 나가는 단지 두개의 나선 팔들에 의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전에는 우리 은하가 4개의 주요한 나선 팔들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 주해가 달린 사진은 212회 미국천문학회 학술대회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meeting, AAS meeting)에서 다른 발견들과 함께 우리 은하의 새로운 모습을 설명한 것이다. 은하의 두개의 주요한 나선팔 (방패-센타우루스 팔과 페르세우스 팔)은 두꺼운 중심의 .. 2013. 7. 17.
스카이트래커 (SkyTracker) 외부 전원 연결선 스카이트래커(SkyTracker) 외부 전원 연결선. 스카이트래커에 12V 납축전지를 이용하여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연결선을 판매하는 곳이 있어서 소개해드립니다.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제품명이 "전원케이블"이고 옵션 선택에서 "Kenko용"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 케이블을 구매하시고 12V 납축전지를 사용하시면 스카이트래커에서 외부 전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http://www.myscope.co.kr/src/products/products_detail.php?product_mst_id=0129_00016 http://www.meadekorea.co.kr/shop/home/index/mall.php?cat=1407&q=view&uid=185 cf. 일반 시중에서 판매하는 다른 것을 구입할 .. 2013. 7. 17.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충돌 시뮬레이션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충돌 시뮬레이션(The collision simulation of our Milky Way galaxy and the Andromeda galaxy) 이 사진은 우리 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 사이의 예측된 합병에서의 단계를 보여준다. 이 사진은 37억 5천만 년에 볼 수 있는 지구의 밤하늘을 묘사하였고, 안드로메다 은하 (왼쪽)는 시야를 채우고 중력 조석 작용으로 우리 은하가 뒤틀리기 시작한다. (Credit: NASA; ESA; Z. Levay and R. van der Marel, STScI; T. Hallas; and A. Mellinger) 나사(NASA)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 태양, 태양계에 영향을 미칠 향후 중요한 우주 사건을 지금 확실하게 예측할 수 있.. 2013. 7. 16.
베텔게우스 (Betelgeuse) *베텔게우스 (Betelgeuse, Alpha Orionis) - 적경 : 05시 55.2분 , 적위 : +07도 24분- 등급 : 0.42등급(0.3~1.2등급, 변광성, 평균 2,070일)- 거리 : 643광년- 색 : 붉은색- 의미 : '거인의 겨드랑이'를 뜻하는 아라비아어인 "yad al jauza"에서 유래. 베텔게우스(Betelgeuse)는 밤하늘에서 8번째로 가장 밝으며, 오리온자리에서 두번째로 밝은 별이다. 베텔게우스는 붉은색으로 빛나며, 겉보기 등급이 0.3등급에서 1.2등급까지 바뀌는 준규칙 변광성이고 1등급 별 중 밝기 변화가 가장 큰 별이기도 하다. 밤하늘에서 두개의 1등성 초거성중의 하나(다른 하나는 여름철의 전갈자리의 안타레스)인 베텔게우스는 어디서나 찾을 수 있는 가장 큰 별 .. 2013. 7. 15.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의 충돌 시뮬레이션 안드로메다 은하와 우리 은하의 충돌. The collision of the Andromeda Galaxy and the Milky Way. 이 동영상은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 사이의 충돌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HST)의 관측은 그들 서로의 중력에 의해 함께 잡아당겨진 두 은하들은 지금으로부터 약 40억년 후에 충돌할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60억년 후에는 두 은하가 하나의 은하를 형성하기 위해 합병될 것이다. 이 동영상은 또한 삼각형자리의 은하인 바람개비 은하(M33)도 안드로메다/우리 은하 쌍에 충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f. HD 영상으로 오른쪽 하단에 있는 해상도는 720HD, 화면 확대 버튼을 클릭해서 전체 화면으로 보셔도 좋습니다. Visualization Credit: N.. 2013. 7. 14.
여름철 밤하늘 성도 cf. 인쇄용 큰 사진 (2735 x 2638 pixels). 여름철 밤하늘 성도.copyright (c) Sky Publishing Corp. 2013. 7. 14.
명왕성의 새로운 달에 대한 이름들 (Names for New Pluto Moons) 명왕성과 5개의 위성 (Pluto and its five moons).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의 광시야 카메라(Wide Field Camera, WFC) 3에 의해 촬영된 이 사진은 얼음으로 뒤덮인 왜소 행성(dwarf planet)인 명왕성(Pluto)을 돌고 있는 5개의 달을 보여준다. 사진 중심의 더 어두운 줄무늬는 닉스(Nix), 히드라(Hydra), 케르베로스(Kerberos), 그리고 스틱스(Styx)의 상당히 어두운 위성들을 포착하기 위해 장기 노출을 준 사진과 훨씬 더 밝은 명왕성(Pluto)과 카론(Charon)을 포착하기 위해 더 짧은 노출을 준 사진으로 만들어졌기때문이다. 케르베로스(Kerberos)는 직경이 약 13-34 km로 추정되며.. 2013. 7. 13.
혜성 (comet)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 관측가능한 혜성 (comet)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이트들입니다. 제가 혜성 정보를 얻는 주요한 사이트들입니다. 특정 헤성에 대한 내용은 나사(NASA) 사이트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영국 사이트에 먼저 들어가서 정보를 보고 독일 사이트에 들어가서 좀 더 살펴본후에 일본 사이트에 들어가서 각 혜성의 밝기 변화 등을 살펴봅니다. ^^ 한국 사이트는 제가 운영할 계획인데 다른 바쁜 일도 많아서 아직은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1. 영국의 사이트 : http://www.ast.cam.ac.uk/~jds/ 2. 독일의 사이트 : http://kometen.fg-vds.de/fgk_hpe.htm 3. 일본의 사이트 : http://www.aerith.net/comet/weekly/current.html 4. .. 2013. 7. 11.
허블우주망원경 (HST)이 찍은 멋진 사진들이 있는 사이트 허블우주망원경 (Hubble Space Telescope, HST)으로 촬영한 멋진 사진들을 볼 수 있는 사이트.다양한 천체들 (항성, 태양계 행성, 은하, 성운, 성단, 변광성, 이중성, 은하단 등)의 고화질 사진을 볼 수 있습니다. http://hubblesite.org/gallery/album/entire/ cf. Hubble Site 사진들의 저작권 방침: (개인이나 비영리를 목적으로 출처를 명시하여 사용하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Material credited to STScI on this site was created, authored, and/or prepared for NASA under Contract NAS5-26555. Unless otherwise specificall.. 2013. 7. 9.
아이손 (ISON) 혜성의 최근 사진 허블우주망원경 (Hubble Space Telescope, HST)에서 촬영한 아이손 (ISON, C/2012 S1) 혜성의 최근 사진. 겉보기에 불꽃을 닮은 아이손(ISON, C/2012 S1) 혜성은 시간당 7만 7천 km의 속도로 태양을 향해 달려오고 있다. 불꽃과는 달리, 이 혜성은 태양에 가까워져서 빛이 약해진 것이 아니고 사실은 상당히 차갑다. 불꽃을 닮은 꼬리는 실제로는 얼음으로 된 핵에서 분출된 가스와 먼지의 흐름을 보여준다. 이 사진은 2013년 5월 8일에 허블우주망원경(HST)의 광시야 카메라 3 (WFC3/UVIS F350LP)를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이 사진은 원래 흑백 이미지이며 단지 전체적인 밝기만이 기록되었으나 혜성의 밝기 변화를 쉽게 구별하기 위해 푸른색으로 밝기 변화를 나.. 2013. 7. 9.
세페우스자리 (Cepheus) 세페우스자리(Cepheus).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Object : CepheusDate : 2009. 08. 16. 03:08 (KST)Location : near Naewonsa, JirisanLens : ZE 50mm (F1.4)Camera : Canon EOS 5D Mark II digital cameraFocal Length : 50mmF ratio : 4.5Exposure : 300 sISO : 800Filter : Cokin diffuser P-820 filterPhotographer : Bum-Suk Yeom cf. 석류석 별 (Garnet star)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는 자신이 집필한 팔레르모 항성목록(Palermo Catalogue)에.. 2013. 7. 8.
북두칠성과 작은곰자리 (Big Dipper and Ursa Minor) 북두칠성과 작은곰자리 (Big Dipper and Ursa Minor).사진의 중앙 왼쪽에 있는 별자리가 작은곰자리이고, 사진의 오른쪽에서 북두칠성을 볼 수가 있습니다. cf.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 크기로 보시길 권장합니다. ^^ Object : Big Dipper and Ursa MinorDate : 2012. 11. 24. 05:12 (KST)Location : Muji-city, Gyeongsangnam ProvinceTelescope (or Lens) : EF 24m (F2.8)Mount (or Tripod) : Vixen Guidepack mountCamera : Canon EOS 5D Mark III digital cameraFocal Length : 24mmF ratio : 4Exposure.. 2013. 7. 4.